반응형
취업 후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검진은 종종 후순위로 밀려납니다. 하지만 2025년 기준으로 직장가입자도 정기적인 건강검진 대상입니다. 특히 첫 직장에 들어간 사회초년생이라면, 본인이 대상자인지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.
건강검진 대상자 확인
직장에 다닌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자동으로 검진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. 건강보험공단에서 2년에 한 번씩 짝수/홀수년 출생자별로 검진 대상을 나누기 때문에, 본인의 생년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.
예시:
- 짝수년도 출생자(1996, 1998 등) → 2024년, 2026년 검진 대상
- 홀수년도 출생자(1995, 1997 등) → 2025년 검진 대상
검진 항목은?
직장가입자라도 지역가입자/피부양자와 동일한 기본 검진 항목을 받습니다. 단, 사무직/비사무직 여부에 따라 일부 항목(흉부 X-ray 등)이 다를 수 있습니다.
건강검진 비용은?
기본 건강검진은 전액 무료이며, 회사가 건강보험료를 납부한 근로자라면 별도로 부담할 금액이 없습니다. 단, 선택적 암검진 등은 일부 본인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검진을 꼭 받아야 하는 이유
- 산재 예방: 업무로 인한 질병 사전 차단
- 의료비 절감: 초기에 진단하면 치료비 절약
- 이직/입사 시 건강상태 확인에도 유용
사회초년생의 첫 번째 건강관리 습관은 국가건강검진으로부터 시작됩니다. 건강은 자산입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