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건강검진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. 검진 결과를 바르게 해석하고, 필요한 관리를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목적입니다. 오늘은 2025년 건강검진 결과를 항목별로 이해하는 방법과 주의해야 할 수치, 그리고 검진 후 실천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1. 건강검진 결과표 보는 법
검진 결과표는 보통 정상, 주의, 질환의심으로 나뉘며, 수치 외에도 해당 항목의 위험도 및 향후 관리 권고사항이 함께 제시됩니다. 아래는 주요 검사 항목별 해석 기준입니다.
2. 주요 검사 항목별 정상 범위
항목 | 정상 수치 | 주의해야 할 경우 |
---|---|---|
공복혈당 | 70~99 mg/dL | 100~125: 당뇨 전단계 126 이상: 당뇨 의심 |
총 콜레스테롤 | 200 mg/dL 이하 | 201~239: 경계 240 이상: 고콜레스테롤혈증 |
혈압 | 120/80 mmHg 이하 | 140/90 이상: 고혈압 의심 |
BMI (체질량지수) | 18.5~22.9 | 25 이상: 과체중 30 이상: 비만 |
간 수치(AST, ALT) | 40 U/L 이하 | 높을 경우 지방간·간염 의심 |
3. '주의' 또는 '질환의심' 판정 시 해야 할 일
- 의사 상담: 가까운 병원 내과 방문하여 정밀검사 및 진료 권장
- 생활습관 개선: 식단조절, 금주, 운동 습관 확립
- 추적검사 예약: 보통 3~6개월 내 재검진 필요
4. 검진 결과별 생활 관리법
✔ 혈압이 높게 나온 경우
나트륨 섭취 줄이기, 유산소 운동(걷기),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합니다.
✔ 혈당이 경계 수준인 경우
정제된 탄수화물 섭취 줄이고, 식사량과 간격을 조절해야 합니다.
✔ 콜레스테롤이 높게 나온 경우
튀긴 음식, 가공육 줄이고 생선, 채소, 견과류 위주 식사로 변경하세요.
✔ 간수치가 높을 때
금주가 가장 우선이며, 운동과 저지방 식단이 도움이 됩니다.
5. 결과 확인 및 상담 방법
- 모바일 앱(건강iN) 또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- 검진기관에서 전화 상담 또는 진료 예약 가능
- 가족력이나 기존 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 진료로 연결해야 함
마무리
검진 결과는 숫자보다 해석이 중요합니다. 수치를 이해하고, 필요한 경우 병원을 찾고, 무엇보다도 꾸준한 건강관리를 실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 2025년에는 건강검진을 단순한 확인이 아닌, 건강 실천의 계기로 만들어보세요.
반응형